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식 투자를 단순히 사고팔아 차익을 남기는 행위로 접근하기보다, ‘동업’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해요. 

 

 

1️⃣ 주식 투자는 ‘동업’입니다

주식을 산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동반자가 되기로 결정하는 것과 같아요. 나를 대신해 경영을 책임진 동업자(경영진)가 거둔 성과를 공유하는 과정이죠. 예를 들어, 2007년 아이폰이 처음 나왔을 때 애플 주식을 샀다면, 이는 스티브 잡스와 동업 관계를 맺는 것과 같았을 거예요.  만약 그 동업 관계를 지금까지 유지했다면 상당한 부를 축적했을 가능성이 높죠. 아마존이나 삼성전자의 초기 투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동업’ 마인드는 투자를 단기적인 행위가 아닌, 뿌듯한 장기적 성취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2️⃣ ‘시드머니’와 ‘공부’가 우선입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젊은 투자자라면 투자를 너무 서두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규모 있고 견고한 시드머니(종잣돈)를 마련할 때까지 주식 투자를 조금 미뤄두어도 괜찮아요. 시드머니를 모으는 동안에는 투자 공부에 집중하세요. 좋은 영상, 책, 강연 등을 통해 투자 기본기와 지혜의 씨앗을 함께 키워나가야 합니다. 충분한 자금과 지식이 준비되었을 때 비로소 시장에서 살아남고 경제적 자유에 더 가까워질 수 있어요.

 

 

3️⃣ ‘본업(본진)’을 지키는 지혜

투자는 평생 함께하는 동반자와 같지만, 자신의 ‘본업(본진)’을 훼손하면서까지 동업(투자)에 매달릴 필요는 없습니다.  학업, 취업, 결혼, 사업 시작 등 인생의 중요한 국면에서는 투자 비중을 줄이거나 잠시 멈추는 현명함이 필요해요. 매일 아침 기도하는 심정으로 주가를 확인해야 하는 투자는 이런 시기에는 특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때로는 ‘나 자신(인적 자본)’에게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학업이나 경력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투자를 잠시 멈추는 결정이 미래에 더 큰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반응형